안녕하세요, 인천 검단 아솔내과 전문의 정도영입니다.

국내에서 위 내시경이 보편화되면서 무증상의 용종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 용종은 악성화할 확률이 높은 용종부터, 가능성이 낮은 양성 용종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위 용종은 크게 상피성 용종(Epithelial polyps)과 비점막성 벽내용종(Non mucosal instramural polyps)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상피성 용종 중에서 검사 중 흔하게 발견할 수 있는 과형성용종(Hyperplastic polyps)과 위저선용종(Fundic gland polyps)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입력해주세요 007

1. 역학

위 용종 중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용종은 과형성용종, 위저선용종, 위선종입니다.
오늘은 그 중 과형성용종과 위저선용종에 관한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전통적으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용종은 과형성용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지역적인 차이가 존재하여 서양에서는 위저선용종이 가장 흔한 것으로 보고됐지만, 국내 연구에서는 과형성용종이 가장 흔하고 다음으로 위저선용종, 위선종 순으로 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

최근 10년 전과 비교하였을 때 과형성용종은 감소하는 추세인 반면, 위저선용종은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장기간 PPI 사용의 증가와 H.pylori 감염률의 감소에 따른 것으로 추정됩니다.

2. 과형성용종 (Hyperplastic Polyps)

(1) 발생 원인

앞서 말씀드렸듯, 과형성용종은 위 용종의 약 60%의 비율로 가장 흔하게 관찰되는 용종입니다.
H.pylori (헬리코박터균)과 연관이 있으며, 감염률이 높은 지역에서 흔하게 발견됩니다.

과형성용종 (Hyperplastic polyps)은 이름에서 느껴지듯, 위 점막의 과재생된 상피가 증식하면서 생깁니다.

만성적인 염증 자극, 위축성 위염, H.pylori 연관 위염, 위 궤양 또는 과거 수술 부위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2) 임상적 및 병리적 특징

중년 이후 남녀 모두에게서 나타납니다. 대부분 별다른 증상없이 내시경 검사 중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용종 크기가 그대로 유지되거나 점차 커질 수 있습니다. H.pylori 제균 치료 후에 퇴행하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또한 표면 상피의 문제로 위장관 출혈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드물게 간헐적 위폐색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3) 악성화 가능성

과형성 용종에서 이형성이 발생되는 확률은 1.9-19%로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며, 암이 발생되는 경우는 0.6-2.1%로 보고됩니다[2].

크기가 2cm 이상 큰 경우에 더 흔하게 나타나며, 용종 자체보다 주변 점막에서 암이 발생될 위험도 유의미하게 높습니다[3,4].

(4) 치료

과형성용종은 작지만 악성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1cm 이상인 경우, 유경성인 경우, 절제가 고려되며 철저한 조직 검사가 필요합니다.

헬리코박터균 (H.pylori)과 과형성용종은 깊은 연관이 있기 때문에 헬리코박터균 양성이라면 제균치료도 필요합니다.
과형성용종에 대한 제균치료의 효과는 여러 연구에서 보고되고 있습니다.

3. 위저선용종 (Fundic Gland Polyps)

위저선용종 (Fundic gland polyps)은 헬리코박터 감염과 연관성이 낮습니다.
또한 양성자 펌프 억제제 (PPI) 장기 복용과 연관이 있습니다.

위저선용종일 경우 아래 3가지를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1) 산발성 위저선용종 (Sporadic fundic gland polyp)

위저선용종은 무경성의 투명하고 부드러운 겉모습을 가집니다. 색도 주변 점막과 비슷하여 내시경 소견만으로 진단이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대부분 5mm 이내의 크기이며, 조직학적으로 염증세포의 침윤은 거의 관찰되지 않습니다.

산발성 위저선용종의 경우 이형성은 1% 미만으로 나타납니다.

즉, 악성화 가능성이 매우 낮습니다.

(2)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FAP)의 위저선용종

위저선용종의 경우일 때 반드시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FAP)를 감별해야 합니다.

FAP의 경우 위저선용종이 다수 발견될 수 있습니다.
특히 이 경우 이형성 발생률이 30~50%나 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FAP 환자들 중 88%의 환자에서 위저선용종이 발견되었다는 보고도 존재합니다[5].

때문에 40세 미만의 환자에서 다수의 위저선용종이 발견되거나, 의심되는 가족력이 있을 경우 대장 내시경 검사가 권장됩니다.

(3) 양성자 펌프 억제제(PPI)와 연관된 위저선용종

위저선용종은 양성자 펌프 억제제 (PPI)와 연관이 있습니다.

양성자 펌프 억제제 (PPI)를 1년 이상 장기 복용하는 환자에게서의 발생률이 4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5년 이상 복용한 경우에 특히 높게 나타났습니다[6].

따라서 PPI에 의한 위저선용종이 의심되는 경우 PPI 복용 중단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4. 마치며

gastric polyp guideline

건강검진 중에 우연히 발견된 무증상의 위 용종일지라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오늘 다룬 용종들의 악성화 가능성은 비교적 낮지만, 정기적인 검진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참고문헌

  1. Nam SY, Park BJ, Ryu KH, Nam JH. Effect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its eradication on the fate of gastric polyps. Eur J Gastroenterol Hepatol 2016;28:449-454.
  2. Seung Woo Le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Gastric Polyps. Korean J Med 2016;90:307-312
  3. Carmack SW, Genta RM, Graham DY, Lauwers GY. Management of gastric polyps: a pathology-based guide for gastroenterologists. Nat Rev Gastroenterol Hepatol 2009;6: 331-341.
  4. Goddard AF, Badreldin R, Pritchard DM, Walker MM, Warren B; British Society of Gastroenterology. The management of gastric polyps. Gut 2010;59:1270-1276.
  5. Bianchi LK, Burke CA, Bennett AE, Lopez R, Hasson H, Church JM. Fundic gland polyp dysplasia is common in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Clin Gastroenterol Hepatol 2008;6:180-185
  6. Jalving M, Koornstra JJ, Wesseling J, Boezen HM, S DE Jong S, Kleibeuker JH. Increased risk of fundic gland polyps during long-term proton pump inhibitor therapy. Aliment Pharmacol Ther 2006;24:1341-1348.3

더 읽어볼 만한 글들


당신이 좋아할 만한 콘텐츠

by Google Adse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