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인천 검단 신장 전문 아솔내과입니다.

최근 진료실에서 “혈액투석이 정확히 어떤 치료인가요?” 또는 “투석을 시작해야 할 정도로 신장이 나빠졌다는 게 무슨 뜻인가요?” 같은 질문을 자주 받습니다.

특히 검단, 풍무동, 불로동 지역에서 혈액투석을 고민 중이신 분들이 많아, 이번 콘텐츠를 통해 혈액투석 원리와 과정, 시작 기준과 관리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리고자 합니다.

아솔내과에서는 말기신부전 환자분들이 투석 과정에서도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맞춤형 치료를 제공합니다. 아래 내용을 통해 혈액투석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시고, 불안함을 줄이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혈액투석 원리 001

1. 혈액투석이 필요한 이유

인천 검단 내과 아인내과 내부전경 인공신장실

사람의 몸은 매일 수많은 노폐물과 과잉 수분을 만들어냅니다. 정상적인 경우 이 모든 것들은 신장(콩팥)에서 걸러져 소변으로 배출되는데, 이 기능이 점점 떨어지게 되면 체내 독성 물질이 축적되고 전해질과 수분의 균형이 무너지게 됩니다.

이런 상태를 말기신부전(End-Stage Renal Disease, ESRD)이라고 부르며, 일반적으로 사구체여과율(GFR)이 15 mL/min/1.73㎡ 이하일 때 진단됩니다.

이 시점에서는 더 이상 식이요법이나 약물만으로는 생명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혈액투석, 복막투석, 또는 신장이식 같은 신대체요법이 반드시 필요합니다[1][2][4].

대한신장학회 보고에 따르면, 국내 ESRD 환자의 80% 이상이 혈액투석을 받고 있으며, 매년 약 1만 명의 신규 투석 환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 말기 신부전의 가장 흔한 원인은 당뇨병이며, 전체의 약 절반을 차지합니다[3].

2. 혈액투석 원리

신장의 역할을 기계가 대신합니다

혈액투석(Hemodialysis)은 말 그대로 혈액을 인공신장기(투석기)를 통해 체외로 빼내어 정화한 뒤 다시 몸속으로 되돌려주는 치료입니다.

이때 사용되는 투석기는 신장의 가장 중요한 기능인 여과, 노폐물 배설, 수분 조절을 정교하게 모사하여, 환자의 생명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혈액 정화는 다음의 세 가지 작용 기전에 의해 이루어집니다[1][2].

  • 확산(Diffusion): 혈액 내 농도가 높은 노폐물(요소, 크레아티닌 등)이 투석액으로 이동합니다.
  • 초여과(Ultrafiltration): 정수압 차이를 이용해 혈액 내 과도한 수분을 제거합니다.
  • 대류(Convection): 수분이 이동하면서 함께 중분자 독소(예: β2-microglobulin)를 배출합니다.

이러한 정화 과정을 통해, 혈중 독성 물질과 과잉 수분을 제거하게 됩니다.

특히 최근에는 고유량(high-flux) 투석막을 활용하여, 분자량이 큰 독소까지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투석 효율이 향상되고 있습니다[2].

3. 혈액투석 과정

대부분의 환자에게 혈액투석은 주 3회, 1회당 약 3~5시간 정도 진행됩니다. 아솔내과 인공신장실에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투석이 이루어집니다. 환자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1. 환자가 내원하여 체중과 혈압을 측정합니다.
  2. 혈액검사를 통해 전해질 수치와 빈혈 여부를 점검합니다.
  3. 동정맥루에 두 개의 바늘을 삽입하여, 하나는 혈액을 유출하고 다른 하나는 정화된 혈액을 체내로 돌려보냅니다.
  4. 혈액은 인공신장기를 통해 투석막을 거치면서 정화되며, 이 과정에서 노폐물과 과도한 수분이 제거됩니다.
  5. 투석 종료 후에는 체중을 다시 측정하고 이상 유무를 확인합니다.

투석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투석액(dialysate)은 우리 몸의 체액 성분과 유사하게 조성되어 있으며, 나트륨(Na⁺), 칼륨(K⁺), 칼슘(Ca²⁺), 마그네슘(Mg²⁺), 중탄산염(HCO₃⁻)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칼륨 농도를 조절하거나, 당뇨병 환자의 경우 포도당이 포함된 투석액을 사용하기도 합니다[1].

4. 혈액투석의 부작용과 합병증

혈액투석은 인체 외부에서 기계를 통해 진행되는 치료이므로, 다음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투석 중 저혈압: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체액이 급격히 빠져나갈 때 발생합니다.
  • 근육 경련: 전해질 불균형이나 급속한 체액 제거로 발생합니다.
  • 혈관루 협착 및 감염: 장기간 사용 시 혈관 손상 및 감염 위험이 높습니다.
  • 빈혈 및 골대사 이상: 적혈구 생성 감소와 칼슘·인 대사 이상으로 발생합니다.
  • 투석 후 피로감: 약 70%의 환자에서 보고되며, 일상생활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3].

이러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혈액검사, 약물조절, 영양관리가 필요하며, 무엇보다 전문 의료진과의 긴밀한 소통이 필수적입니다.

부작용과 합병증에 대해서는 다른 포스팅에서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5. 검단 아솔내과의 혈액투석 철학

008

이번 글에서는 혈액투석 원리, 과정,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혈액투석은 단지 생명을 유지하는 기술적 행위가 아닙니다. 환자의 삶의 질, 영양 상태, 심혈관 건강까지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장기적 치료 과정입니다.

아솔내과는 다음과 같은 원칙을 지킵니다.

  • 개인 맞춤형 투석 설정 (혈류속도, 투석액 조성 등)
  • 철저한 투석적절도 평가와 합병증 예방
  • 환자의 삶의 질과 자율성 보장

검단, 풍무동, 불로동 지역의 환자 여러분께 투석이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 될 수 있도록 언제나 함께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참고 문헌

  1. 이정화. 말기신부전 환자의 투석. 병원약사회지. 2013;30(5):479-488.
  2. 차선미, 민혜숙. 혈액투석 시 투석액 속도가 투석적절도와 피로에 미치는 효과. J Korean Acad Nurs. 2016;46(5):642-652.
  3. 이영기, 오지은. 말기신부전 환자의 신대체요법. Korean J Med. 2014;86(2):131-137.
  4. Satyanarayana Vaidya, Narothama Aeddula. Chronic Kidney Disease. StatPearls [Internet]. Updated July 31, 2024.

더 읽어볼 만한 글들


당신이 좋아할 만한 콘텐츠

by Google Adse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