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인천 검단 아솔내과입니다.

오늘은 만성 신부전 환자분들께서 많이 문의하시는 혈액투석 주기와 소요 시간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혈액투석은 신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해 체내 노폐물과 과도한 수분, 전해질을 제거해주는 치료로, 주로 만성 신부전(말기 신질환, End-Stage Renal Disease, ESRD) 환자분들께 시행됩니다[1]. 이러한 투석 치료는 단순히 혈액을 깨끗하게 하는 것을 넘어, 심혈관계 질환 예방과 삶의 질 향상, 생존 기간 연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혈액투석 주기 소요시간 썸네일

1. 혈액투석 주기

왜 주 3회가 표준인가?

혈액투석 주기

혈액투석의 주기는 보통 주 3회, 1회당 4시간 정도로 권고됩니다.

이는 주 3회의 혈액투석이 요독증 증상(구역, 구토, 혼수), 전해질 불균형(고칼륨혈증 등), 체액 과부하(부종, 폐부종) 등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며, 생존율을 높인다는 여러 연구 결과에 근거합니다[1].

-관련 연구

Know Everything About Hemodialysis center In Kolkata

대표적인 연구인 National Cooperative Dialysis Study(NCDS, 1981년)에서는 투석 적정도를 평가하는 지표인 Kt/V(투석량-시간/요소 분포량 비율)를 기준으로 혈액투석의 빈도와 생존율의 관계를 분석했습니다.

연구 결과, 주 3회 투석으로 Kt/V ≥ 1.2를 유지하는 경우 생존율과 삶의 질이 현저히 향상되었으며, 주 2회 이하의 투석에서는 요독 증상이 악화되고 사망률이 증가했습니다[3].

특히 KDOQI(Kidney Disease Outcomes Quality Initiative) 2015년 가이드라인에서도 혈액투석은 주 3회 이상 시행할 것을 강력히 권고하고 있습니다[2].

하지만 환자 개개인의 상태에 따라 주기는 조정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잔여 신기능(residual renal function)이 상당 부분 남아있는 초기 ESRD 환자에서는 주 2회 투석으로 시작해 점차 주 3회로 늘릴 수도 있으며, 반대로 체액 과다나 고칼륨혈증 등 임상적 문제가 지속된다면 주 4회 이상 투석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1].

2. 혈액투석 소요 시간

왜 4시간이 적절한가?

혈액투석 1회 소요 시간은 대부분 3.5~5시간 사이이며, 표준적으로 4시간 정도가 권장됩니다. 이 시간은 혈액 내 요독성 물질(uremic toxins)과 과도한 체액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는 최소 시간으로 설정된 것입니다.

이를 뒷받침하는 대표적인 지표가 바로 Kt/V입니다. Kt/V 1.2 이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보통 4시간 이상의 투석 시간이 필요하며, 혈류 속도(blood flow rate)와 투석기 효율(dialyzer clearance rate), 환자의 체중에 따라 차이가 있긴 하지만, 대부분의 환자에서는 주 3회, 4시간 투석이 최적의 치료로 권고됩니다[10].

혈액투석 시간은 단순히 요독 제거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지나치게 짧은 투석 시간(예: 3시간 미만)은 급격한 체액 및 전해질 이동으로 인한 저혈압, 경련, 두통, 구역 등을 유발할 위험이 높으며, 장기적으로는 심혈관계 합병증과 사망률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1].

반면, 투석 시간을 5시간 이상 연장하는 경우, 저혈압 등의 급성 합병증은 줄어들 수 있으나, 환자 부담과 치료 순응도 측면에서 고려가 필요하며, 개별 환자의 상태에 따라 신중히 결정해야 합니다.

3. 단순한 시간과 횟수 이상의 문제

RENAL DIALYSIS 56a275235f9b58b7d0cac1e2 11zon

혈액투석의 효과는 단순히 주기와 시간만으로 결정되지 않습니다.

혈류량(blood flow rate), 투석액 유속, 투석막의 종류(고효율, 고투과성), 체중, 식사 상태, 저알부민혈증 여부 등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1].

예를 들어, 동일한 4시간 투석이라도 혈류량이 충분하지 않거나 저알부민혈증이 동반되면 요독 제거 효율은 떨어질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추가적인 영양 관리, 혈류량 증대, 고효율 투석막 사용 등의 보완이 필요합니다.

또한, 체중이 많이 나가거나 체액 과부하가 심한 환자는 초당 제거 가능한 체액량(ultrafiltration rate, UFR) 한계를 고려해 투석 시간을 연장하거나 주기를 조정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1].

4. 검단, 김포 투석 아솔내과

인천검단 내과 아인내과 신장투석실 2

혈액투석은 단순히 기계적으로 시행하는 치료가 아닙니다.

환자 한 분, 한 분의 상태를 주의 깊게 평가하고, 필요에 따라 주기와 시간을 조율하며, 영양 관리, 혈관 접근로 관리, 심혈관계 평가를 포함한 다각적 접근이 필수적입니다.

아솔내과에서는 환자 개개인의 상태와 삶의 질을 고려하여, 맞춤형 투석 계획을 세우고, 이를 통해 환자분들이 안전하고 건강하게 투석 생활을 이어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투석과 관련된 불편함이나 궁금증이 있으시다면 언제든 내원하셔서 상담받으시길 권유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참고문헌

  1. Murdeshwar HN, Anjum F. Hemodialysis. NIH StatPearls.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2023 Apr 27
  2. National Kidney Foundation. KDOQI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Hemodialysis Adequacy: 2015 Update.
  3. Lowrie EG, Laird NM, Parker TF, Sargent JA. Effect of the Hemodialysis Prescription on Patient Morbidity: Report from the National Cooperative Dialysis Study. N Engl J Med. 1981;305(20):1176-1181. doi:10.1056/NEJM198111123052003
  4. NKF-KDOQI Guidelines, 2015.

더 읽어볼 만한 글들


당신이 좋아할 만한 콘텐츠

by Google Adse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