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인천 검단 아솔내과 내과입니다.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에게 있어 혈액투석 식단, ‘식사’와 ‘수분 섭취’는 치료만큼이나 중요합니다.
단순히 ‘덜 먹는다’거나 ‘싱겁게 먹는다’는 접근으로는 부족합니다. 제대로 된 식단과 정확한 수분 조절 없이는 투석의 효과도 떨어지고,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검단과 풍무동, 불로동 지역의 혈액투석 환자와 보호자분들을 위해, 꼭 알아야 할 혈액투석 식단과 추천 음식, 수분 조절에 대해 정리해드리겠습니다.

National Kidney Foundation(NKF)의 Hemodialysis and Your Diet(2024)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혈액투석 식단 관리의 중요성
혈액투석은 단순히 체내의 노폐물과 과잉 수분을 제거하는 치료일 뿐 아니라, 환자의 영양 상태를 유지하고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다학제적 관리의 일부입니다.
적절한 식단과 영양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투석 치료에도 불구하고 체력 저하, 면역력 감소, 저알부민혈증, 고칼륨혈증, 고인산혈증, 심혈관계 합병증 등의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석환자의 식단은 단순히 제한이 아닌, ‘치료식’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2. 혈액투석 식단
(1) 단백질

반드시 충분히, 질 좋은 단백질을 매끼 포함
혈액투석 환자는 단백질 손실이 많아, 일반 성인보다 더 많은 단백질이 필요합니다. NKF에서는 매끼 고품질 단백 식품(살코기, 가금류, 생선, 달걀, 두부 등)을 포함하도록 권고합니다[1]. 이는 체중 1kg당 1.2~1.3g의 단백질을 섭취하는 질병관리청의 권고와도 일치합니다[2].
단백질 섭취는 단순히 근육 유지를 넘어, 상처 회복, 면역력 유지, 저알부민혈증 예방 등 생명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2) 칼륨
혈중 수치에 따라 조절, 고칼륨혈증 방지
칼륨 제한은 개인의 혈중 칼륨 농도에 따라 다릅니다.
NKF는 고칼륨혈증 환자에게 고칼륨 식품(바나나, 오렌지, 감자, 토마토, 멜론, 주스류) 제한을 권고하며, 대신 저칼륨 식품(사과, 배, 포도, 블루베리, 양배추, 오이 등)을 권장합니다[1].
채소류는 잘게 썰어 물에 담근 후 데치기하여 칼륨 함량을 최대 50% 이상 줄일 수 있으므로 조리법의 중요성도 강조됩니다.
(3) 인
혈액투석은 인 제거에 한계가 있으므로, NKF는 인 섭취 제한(800~1000mg/일)을 권고하며, 특히 가공식품, 인산염 첨가물(PHOS 표기) 포함 제품의 제한을 강조합니다[1].
인 흡수율은 가공식품(첨가 인 포함)이 90% 이상, 동물성 식품이 40~60%, 식물성 식품이 20~40%로 보고되므로, 가공식품 제한 + 식물성 식품 중심 식사가 필요합니다.
(4) 나트륨

1일 2300mg(소금 5g) 이하
나트륨 과다 섭취는 갈증과 부종, 고혈압을 유발합니다. NKF와 질병관리청은 하루 나트륨 2000mg(소금 5g) 이하를 권고하며, 가공식품, 국물류, 양념류(간장, 된장, 고추장, 소스류) 제한을 강조합니다[1][2].
(5) 수분

투석과 투석사이의 지나친 체중증가를 예방하기 위해 수분섭취를 주의해야합니다.
수분 섭취량은 1일 소변량 + 500mL를 기본으로 하되, NKF는 투석 전후 체중과 부종, 혈압, 숨참 증상 등을 함께 모니터링하며 개별화해야 한다고 권고합니다[1].
수분은 단순히 물만이 아니라, 국물, 음료, 얼음, 젤리, 아이스크림 등 상온에서 액체인 모든 것을 포함합니다.
하루 체중 증가가 0.5~0.7kg 이상일 경우, 수분 섭취 과다의 신호로 간주합니다.
3. 혈액투석 권장 식품 (NKF 기준)
- 권장: 흰살 생선(대구, 명태), 닭 가슴살, 계란, 두부, 사과, 배, 포도, 양배추, 오이, 흰쌀밥, 흰빵, 올리브유
- 주의: 붉은 육류 과다섭취, 고칼륨 과일, 가공육(햄, 소시지), 국물 요리, 인산염 첨가 가공식품, 염분 함량 높은 스낵류
4. 검단, 풍무동, 불로동 투석, 아솔내과
혈액투석 식단은 단순한 제한이 아니라, 내 몸의 상태와 혈액검사 수치에 따라 달라지는 맞춤형 치료입니다.
아솔내과는 지역 환자분들의 식사습관과 건강 상태를 고려해 혈액투석 식단을 상담드리며, 필요 시 영양상담 및 교육도 진행합니다. 작은 실천이 큰 변화를 만듭니다.
언제든 상담을 통해 건강한 식단을 함께 만들어가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참고 문헌
- National Kidney Foundation. Hemodialysis and Your Diet. August 28, 2024.
- 질병관리청 건강정보. 혈액투석 환자의 식이요법.
- JECT. Therapeutic Diet Principles for Hemodialysis Patients. 1974;6(2):79-83.
- St-Jules DE, Goldfarb DS, et al. Assessment and misassessment of potassium, phosphorus, and protein in the hemodialysis diet. Seminars in Dialysis. 2018:1–8.
당신이 좋아할 만한 콘텐츠
by Google Adsense
당신이 좋아할 만한 콘텐츠
by Google Adse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