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약, 치료 방법, 당뇨 완치 가능할까? | 검단, 풍무동, 불로동 당뇨

안녕하세요. 인천 검단 아솔내과 내과 전문의입니다.

당뇨병은 단순히 혈당이 높아지는 질환을 넘어, 혈관, 신경, 신장, 눈 등 전신에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는 만성질환입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치료의 발전과 맞춤형 관리 전략을 통해 이전보다 훨씬 효과적인 혈당 조절과 합병증 예방이 가능해졌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당뇨 약, 당뇨병의 치료 방법 그리고 “완치”에 대한 현재 의학의 입장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아솔내과 당뇨 약 썸네일

1. 당뇨병이란?

types of diabetes 11zon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 또는 작용의 이상으로 혈당이 만성적으로 상승하는 대사질환입니다.

크게 1형 당뇨병과 2형 당뇨병으로 나뉘며, 국내 당뇨병 환자의 대부분은 2형 당뇨병입니다. 2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과 인슐린 분비 감소가 동시에 작용하여 발생하며, 주로 유전적 소인과 잘못된 생활습관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1].

특히 최근에는 젊은 연령층에서의 발병이 증가하고 있어, 30~40대에서도 당뇨병 선별검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2. 당뇨병 치료의 목적과 원칙

당뇨병 치료의 궁극적인 목적은 혈당을 정상에 가깝게 유지함으로써 합병증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 당뇨 약의 종류와 특징

2023년 개정된 대한당뇨병학회 진료지침에 따르면, 2형 당뇨병의 치료는 환자의 동반질환, 심혈관 위험도, 신장 기능 등을 고려한 개별화된 접근이 중요합니다.

대표적인 약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메트포르민(Metformin)

대부분의 2형 당뇨병 환자에게 1차 약제로 사용됩니다.

간에서 포도당 생성을 억제하고 말초 인슐린 민감성을 높이는 작용이 있습니다. 위장장애가 흔한 부작용이지만 서방형 제제로 개선이 가능합니다.

SGLT2 억제제

신장을 통해 포도당을 배출시키며, 체중 감소와 혈압 강하 효과도 있습니다.

심부전이나 만성 신질환 동반 환자에서 1차 선택약제로 권고되며, 최근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NASH)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제시되고 있습니다.

GLP-1 수용체 작용제

식욕 억제와 인슐린 분비 촉진, 위 배출 지연 등의 효과를 통해 혈당을 낮춥니다.

주사제로 투여되며, 체중 감소 효과가 뛰어납니다. 일부 약제는 심혈관 보호 효과가 입증되어 고위험 환자에게 우선 고려됩니다.

기저 인슐린

경구약만으로 혈당 조절이 어려운 경우 사용하며, 최근에는 GLP-1 작용제와 병용 투여 전략이 선호됩니다. 인슐린 치료 시에는 저혈당 예방과 체중 증가 방지에 대한 교육이 필요합니다.

이 외의 당뇨 약으로 DPP-4 억제제, 설포닐우레아, 티아졸리디온계 등이 있으며, 환자의 상황에 맞춰 선택하게 됩니다.

특히 고령 환자, 신기능 저하 환자에서는 약제의 선택과 용량 조절이 더욱 중요합니다.

3. 당뇨병의 완치, 가능한가?

info01 e01 11zon

많은 환자분들이 “당뇨는 완치가 되나요?”라는 질문을 하십니다.

현재까지 의학적으로 당뇨병은 완치(curable)보다는 조절 가능한 질환(controlled disease)으로 간주되고 있습니다[3].

2형 당뇨병의 경우, 체중 감량, 식습관 교정, 운동 등 생활습관의 극적인 개선을 통해 인슐린 저항성을 회복하고 정상 혈당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이를 “당뇨병의 관해(remission)”라고 표현합니다.

관해는 다음 조건을 만족할 경우 정의됩니다.

  • 1년 이상 당화혈색소(HbA1c)가 6.5% 미만 유지
  • 당뇨약을 사용하지 않음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질병의 진행을 멈춘 상태이지, 체내 인슐린 기능이 완전히 정상으로 돌아온 것은 아닙니다. 다시 말해, 생활습관이 흐트러지면 언제든지 재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완치”라는 표현보다는 “장기 조절” 또는 “병의 진행 억제”라는 개념이 더 정확합니다.

4. 생활습관 개선의 중요성

당뇨병 치료에 있어서 생활습관 개선은 약물치료만큼 중요합니다.

지중해식, DASH 식단, 저탄수화물 식단 등 다양한 식이요법이 HbA1c를 평균 0.3~1%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환자의 선호도, 문화, 경제적 요인을 반영한 맞춤형 식단이 권장됩니다.

운동에 있어서는, 주 150분 이상 중등도 유산소 운동은 인슐린 감수성을 개선하고 체중 감량에도 효과적입니다. 특히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HIIT)은 시간 효율성이 높아 추천됩니다.

체중의 5~10%만 감량해도 혈당 조절은 물론, 혈압과 지질 수치까지 개선됩니다. 최근에는 항비만약물의 적절한 병용도 고려됩니다.

5. 당뇨 관리, 아솔내과

인천검단 내과 아인내과 신장투석실 1

당뇨병은 아직까지는 “완치”보다는 “조절”을 목표로 하는 질환입니다.

그러나 치료 전략과 약물의 발전, 지속적인 자가관리 교육, 그리고 무엇보다 생활습관의 개선을 통해 당화혈색소를 목표 범위 내로 유지하고, 합병증 없이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것은 충분히 가능합니다.

아솔내과는 인천 검단을 중심으로 풍무동, 불로동 지역의 당뇨 환자분들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당뇨를 관리할 수 있도록 진료하고 있습니다. 단순한 혈당 수치 조절이 아닌,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전인적인 치료를 약속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참고문헌

  1. 대한당뇨병학회. 2023 당뇨병 진료지침. 제8판.
  2. 노정현 외. 2형당뇨병의 약물치료. 2023 당뇨병 진료지침.
  3. Lima et al. Diabetes: a Disease with No Cure and Effective Treatment. Endocrinol Metab Int J. 2023;11(2):330.

더 읽어볼 만한 글들


당신이 좋아할 만한 콘텐츠

by Google Adse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