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혈압 기준, 검사 방법, 고혈압의 진단 기준| 검단, 풍무동, 불로동 고혈압

안녕하세요, 인천 검단 내과 아솔내과입니다.

고혈압은 흔하지만 방심할 수 없는 질환입니다.

진단의 정확성과 시기의 적절성이 무엇보다 중요한 이유는, 고혈압이 뇌졸중, 심근경색, 심부전, 만성콩팥병 등의 심각한 합병증과 직결되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대한고혈압학회 2022년 진료지침을 기준으로, 고혈압 기준, 혈압 측정 방법, 기본 검사 항목 등에 대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솔내과 고혈압 기준 썸네일

1. 진단 기준에 사용되는 혈압

asdasd 1 11zon

고혈압 진단의 기준은 반복 측정된 혈압 수치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하며, 단일 측정값만으로는 진단하지 않습니다.

진료실, 가정혈압, 활동혈압(ABPM) 모두 진단에 활용될 수 있으며, 측정 장소와 방법에 따라 고혈압 진단 기준이 약간씩 달라집니다.

진단 시에는 반드시 적어도 2회 이상의 방문에서 각각 2회 이상 측정한 평균값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단,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 중 하나만 기준을 넘겨도 고혈압으로 진단됩니다.

2. 고혈압 기준은?

2022년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에서는 고혈압 기준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인 경우 고혈압으로 분류합니다.

이 외에도 혈압 수치에 따라 고혈압 전 단계 및 주의군을 설정하여 예방과 조기 개입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혈압 분류수축기 혈압 (mmHg)이완기 혈압 (mmHg)
정상혈압*< 120< 80
주의혈압120~129< 80
고혈압 전단계(1기)130~13980~89
고혈압(2기)≥ 140≥ 90
수축기단독고혈압≥ 140< 90

*정상혈압은 심뇌혈관질환의 발생 위험이 가장 낮은 최적혈압으로, 평가 기준의 기준점으로 삼습니다.

3. 정확한 혈압 측정이 진단의 핵심

iStock 175264754 1182x788px 0 1 11zon

진료실에서의 혈압 측정은 환자의 상태, 자세, 환경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표준화된 방법으로 측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대한고혈압학회가 권장하는 표준 혈압 측정법입니다.

  • 측정 전 최소 5분간 휴식
  • 측정 전 30분 이내 흡연, 카페인, 운동 금지
  • 조용하고 안정된 환경에서 시행
  • 팔은 심장 높이에 두고, 팔꿈치와 등은 지지되어야 함
  • 1~2분 간격으로 최소 2회 측정하여 평균값 사용

4. 백의고혈압과 가면고혈압

정확한 진단을 방해하는 두 가지 대표적인 상태가 바로 “백의고혈압(white coat hypertension)”과 “가면고혈압(masked hypertension)”입니다.

(1) 백의고혈압

백의고혈압은 진료실에서만 혈압이 높고, 가정이나 일상생활에서는 정상 혈압을 보이는 경우입니다.

이는 환자가 병원 환경에서 심리적으로 긴장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나타나는 생리적 반응으로, 전체 고혈압 의심 환자의 약 15~30%에서 관찰됩니다.

백의고혈압은 일시적이라 하더라도 장기적으로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정기적인 가정혈압 모니터링과 추적관찰이 필요합니다. 특히 고령자나 폐경기 여성에서 빈도가 높습니다.

(2) 가면고혈압

가면고혈압은 반대로 진료실에서는 혈압이 정상처럼 보이지만, 실제 가정이나 직장 등 일상생활에서는 혈압이 높아지는 경우입니다.

가면고혈압은 조용히 장기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한 상태로, 뇌졸중이나 심근경색과 같은 심혈관 사건 발생률이 지속적 고혈압 환자와 유사한 수준으로 보고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고혈압이 의심되지만 진료실 혈압이 경계선에 해당되거나, 장기손상 소견이 있음에도 혈압이 낮은 경우, 또는 치료 중에도 목표혈압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가정혈압 또는 24시간 활동혈압 검사를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대한고혈압학회는 모든 고혈압 진단 및 치료 환자에서 가정혈압 또는 활동혈압 측정을 병행할 것을 강력히 권고하고 있습니다.

5. 고혈압 치료 시작 기준

호홓 1

고혈압의 치료는 혈압 수치뿐만 아니라, 동반 질환과 심혈관질환의 위험도, 장기손상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고혈압 단계치료 원칙
고혈압 1기고위험군이면 약물 시작, 저위험군은 생활요법 후 3개월 내 재평가
고혈압 2기 이상약물치료와 생활요법 병행

심혈관질환 위험이 높은 경우에는 고혈압 1기부터도 약물치료를 병행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당뇨병, 만성신질환, 허혈성 심질환, 뇌혈관질환 등이 있는 경우에는 조기 개입이 필수적입니다.

생활습관 개선은 치료의 기본입니다. 염분 제한, 체중 감량, 금연, 절주, 꾸준한 유산소 운동, DASH 식단 등의 비약물 요법은 혈압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습니다.

6. 검단 고혈압 관리, 아솔내과

인천검단 내과 아인내과 진료실

저희 아솔내과는 단순한 혈압 수치 측정에 그치지 않고, 고혈압 진단의 정확성, 원인 평가, 전신 위험도 분석, 환자 맞춤형 치료까지 통합적으로 접근합니다.

특히 검단, 풍무동, 불로동 지역의 중장년층 환자들에서 흔히 동반되는 당뇨, 고지혈증, 수면무호흡증, 심혈관질환 병력 등을 함께 고려하여, 환자 개개인에게 최적화된 진료계획을 제시합니다.

가정혈압 기록, 심혈관 위험인자 평가, 심장초음파 및 안저검사 등도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약물치료 시작 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목표혈압 도달률을 높이기 위한 세심한 용량 조절 및 병용 전략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더 읽어볼 만한 글들


당신이 좋아할 만한 콘텐츠

by Google Adse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