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용종의 진단과 치료

안녕하세요. 정도영 원장입니다.
우리나라는 국가 암검진으로 위내시경 검사가 보편화있기때문에, 무증상의 위용종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용종이란, 넓은 의미에서 위장관 내강 쪽으로 돌출된 병변을 두루 의미하지만, 구분을 하자면 상피성 용종과 비점막성 벽내 용종으로 분류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위의 상피성 용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mage 1 3

출처:

위용종의 진단 및 치료,Korean J Med. 2016;90(4):307-312

1. 위용종의 구분

상피성 용종비점막성 벽내 용종
1. 위저선 용종 (Fundic gland polyp)위장관 기질종양 (GIST)
2. 과형성 용종 (Hyperplastic polyp)평활근종 (Leiomyoma)
3. 선종 (Adenomatous polyp)염증성 섬유양 용종
과오종 용종(Hamartomatous polyp)지방종
폴립증 증후군 (Polyposis syndrome)이소성췌장

2. 위저선 용종

위저선 용종을 처음 발견한 경우, 한 개 이상 대표적인 용종에서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확진하며, 크기가 1cm 이상인 경우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위저선용종은 다른 용종들에 비해 악성화 비율이 낮으나,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을 의심해 볼수 있는 단서가 되므로 가족력을 확인해야합니다.

image 1 4
위용종 아솔내과 검단내시경 김포내시경

1) 산발성 위저선 용종

부드럽고 투명하며, 무경성의 융기된 형태로 보이며 단독 혹은 다발성으로 나타나고, 대부분 5mm 이내의 크기입니다. 주변 점막과 비슷한 색조를 띠며, 내시경 소견만으로도 진단이 가능합니다.

image 1 5
위용종 아솔내과 검단내시경 김포내시경
image 1 6

2) 양성펌프억제제와 연관된 위저선 용종

1992년 양성자펌프억제제(PPI) 사용 후 발생한 위저선용종 증례들이 보고된 이후 기전은 명확치 않으나 관련된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한 연구에서는 1년 이상 PPI를 장기 사용한 환자에서 위저선용종의 발생이 4배 가량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20개 이상의 용종이 발견되거나 1cm 이상의 용종이 발견된 경우 PPI를 사용중이라면 중지하여 용종이 줄어드는지 관찰하고, PPI를 변경하거나 최소용량으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합니다.

3)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에서의 위저선 용종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 환자에서 위저선 용종이 다수 생길 수 있으며, 이형성 발생율이 25-41% 입니다. 40세 미만의 환자에서 20개이상의 위저선 용종이 발견되는 경우,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이 동반되어 있을 가능성 고려하여 대장내시경을 추천합니다.

2. 과증식성 용종

과증식성 용종은 부드러운 돔 형태를 띄고, 발적을 띄며 목이 있는 형태가 흔합니다. 크기는 수 cm까지 커지기도 하지만, 0.5-1.5cm 이 보통이며, 단독으로 나타날 경우는 전정부에 많습니다.

위축성위염, H.pylori 연관성 위염, 위궤양이나 미란부 주변부나 담즘역류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위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문합부에 발견됩니다.

과증식 용종은 일부에서 악성화 가능성이 있으므로 1cm 이상의 용종은 절제가 필요하며, 절제된 조직에 대한 조직검사 필요합니다. 절제이외에 H. pylori와 관련이 있을 수 있어, 점막손상을 일으키는 기저상태로 H.pylori균을 치료하면 70%까지 과증식성 용종이 감소한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image 1 7
image 1 8
위용종 아솔내과 검단내시경 김포내시경
image 1 9

과증식성 용종에서 이형성이 발생되는 확률은 1.9-19%로 다양하며, 암이 발생하는 경우는 0.6-2.1%고, 크기가 2cm 큰경우 더 흔하게 발생합니다. 아래의 사진처럼 용종 주변 점막에서 종양이 발생될 위험이 증가되며, 용종 자체에서 발생되는 것보다 주변 점막에서 암이 발생될 위험이 더 높으므로 주변 점막을 자세히 관찰​하여 이상이 있다면 조직검사를 해야합니다.

image 1 10

3. 선종성 용종

위선종은 위암의 전구 병변이 되는 신생물성 병변으로 50-60대에 많이 발생하며, 위축성 위염이나 장상피화생이 있는 경우 더 흔하게 발생합니다. 위의 전정부에서 주로 발생하며 단독으로 생기는 경우가 흔합니다.

image 1 11
위용종 아솔내과 검단내시경 김포내시경

대장의 선종처럼 암으로 진행하는 단계로 생각하며, 크기가 커질수록 암을 포함하고 있을 확률이 증가합니다. 위선종 점막에 함몰성 병변, 발적, 미란, 궤양, 불균일함, 결절성 등이 관찰될때는 위암이나 고등급 선조과 관련되어 적극적인 치료를 요합니다.

​위선종은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다면 완전절제를 권장하며, 최근 연구에서 H.pylori 제균치료가 병변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결과도 있습니다.

image 1 12

4. 위용종 마무리

위용종은 육안적 소견 및 조직검사 결과로 진단이 가능하지만 조직검사만으로 용종 안에 포함된 이형성이나 암을 확
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어서 크기가 1 cm 이상인 경우는 용종절제술이 추천됩니다. 용종의 육안 형태가 비전형적인 경우 이형성이나 암이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아솔내과에서는 위용종 절제를 진단과 동시에 하고 있습니다.


당신이 좋아할 만한 콘텐츠

by Google Adsense



당신이 좋아할 만한 콘텐츠

by Google Adsense


더 읽어볼 만한 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