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인천 검단 아솔내과입니다.
혈액투석은 말기신부전 환자에게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치료법입니다. 하지만 일주일에 2~3회, 한 번에 4시간가량 진행되는 투석 치료는 단순한 ‘혈액 정화’ 그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치료 과정에서 신체가 받는 물리적·생리적 변화는 때때로 예상치 못한 부작용과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실제 환자들이 경험할 수 있는 주요 투석 부작용과 그에 대한 적절한 대처법, 환자분들이 겪으실 수 있는 혈액투석 고통에 대해 임상적 사례와 근거 기반 자료를 바탕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 급성 투석 부작용
(1) 저혈압 (Intradialytic Hypotension, IDH)

혈액투석 중 가장 흔한 합병증 중 하나로, 전체 투석 세션의 약 20~30%에서 발생합니다[1].
원인은 주로 과도한 체액 제거(초여과)로 인한 급성 저혈량증이며, 이로 인해 어지럼증, 메스꺼움, 식은땀, 심한 경우 실신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특히 고령 환자나 심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서 더 자주 나타납니다.
- 투석 중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혈류량을 낮추고, 다리 올리기와 생리식염수 투여를 시행합니다.
- 사전 예방으로는 마른 체중(dry weight)의 정확한 설정과 초여과 속도의 조절이 중요하며, 복용약물에 대한 평가도 필요합니다[1].
(2) 근육경련
투석 후 다리나 복부의 경련을 호소하는 환자도 많습니다. 이는 여러가지의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저혈압, 과도한 수분제거, 혈중 전해질, 특히 나트륨과 칼슘 농도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발생합니다.
- 투석 전 체중 조절, 수분 제거 속도 조절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저나트륨 투석액을 사용하는 경우 경련 위험이 증가하므로, 필요시 투석액의 나트륨 농도를 조절합니다.
- 마그네슘 및 칼슘 보충도 고려됩니다.
2. 중장기적으로 나타나는 합병증
(3) 심혈관계 질환
혈액투석 환자의 사망 원인 중 40% 이상이 심혈관계 질환이며, 이 중에서도 심근경색, 뇌졸중, 부정맥 등이 대표적입니다[1].
혈압 변동, 고칼륨혈증, 동정맥루의 반복 자극 등이 위험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4) 빈혈
투석 환자의 많은 분들이 겪는 만성 합병증으로, 주된 원인은 에리트로포이에틴(EPO) 생성 저하 및 철 결핍입니다.
정기적인 헤모글로빈 측정과 함께, 필요시 EPO 주사 및 철분 보충요법을 병행합니다. 목표 헤모글로빈 수치는 일반적으로 10~11.5 g/dL로 권장됩니다[1].
만약, 어지럼증을 비롯한 빈혈 증상이 있다면 그 즉시 의료진에게 알려야 합니다.
(5) 뼈대사 이상 (Renal Osteodystrophy)
신장 기능 저하로 인해 칼슘과 인의 대사가 왜곡되며, 이로 인해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골다공증, 골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혈청 인 농도는 3.5~5.5 mg/dL 범위 내 유지가 권장되며, 활성 비타민 D 제제와 인 결합제 사용이 중요합니다. 부갑상선 호르몬(PTH) 수치도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1].
(6) 우울 및 불안

혈액투석 환자들은 장기간의 치료와 일상생활의 제한으로 인해 우울감과 불안을 자주 경험합니다.
특히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반복되는 치료 과정, 식이 제한, 가족 및 사회적 관계의 변화 등은 정신적인 부담을 가중시킵니다.
이러한 심리적 문제는 투석 순응도와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치료 효과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아솔내과에서는 환자의 심리 상태를 주기적으로 평가하며, 필요한 경우 정신건강 전문가와의 협진을 통해 환자분들이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투석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3. 혈액투석 고통

혈액투석은 팔과 다리에 바늘을 찌르는 과정과 장시간의 치료로 인해 통증과 불편감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특히 바늘 삽입 부위의 통증, 투석 중 나타나는 근육통, 저혈압으로 인한 두통과 오심은 많은 환자들이 공통적으로 겪는 어려움입니다. 투석시 사용하는 바늘은 굵은 바늘이기 때문에, 투석전 마취크림을 집에서 바르고 오시는 것도 바늘 천자시 통증을 줄일 수 있는 한가지 방법입니다.

또한 장시간 같은 자세를 유지해야 하는 불편함과 치료 후의 피로감도 투석 환자들에게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아솔내과에서는 이러한 고통을 최소화하기 위해 세심한 관찰과 환자 중심의 치료를 통해 안전하고 편안한 치료 환경을 제공합니다.
4. 인천 혈액투석, 아솔내과

인천 검단, 풍무동, 불로동 지역에서 혈액투석을 받고 계신 환자분들께는 단순한 기계적 치료를 넘어서 환자 개개인의 삶의 질과 안전을 중심에 둔 치료가 필요합니다.
정기적인 투석 부작용, 합병증 검사, 투약 조정, 식이 관리, 운동 치료까지 포함된 통합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또한 증상 발생 시 적극적으로 의료진에게 알리고 조기에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솔내과에서는 각종 합병증을 사전에 예측하고 예방할 수 있는 체계적인 투석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투석 중 운동 프로그램과 정신건강 관리까지 아우르는 다학제 치료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환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항상 함께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참고문헌
- Habas EM et al. Common complications of hemodialysis: A clinical review. Ibnosina J Med Biomed Sci. 2021;13:161-172.
- Poirier L et al. Acute Effect of Intradialytic Aerobic Exercise on Hemodynamic Response, Dialysis-Related Side Effects and Proteome in Patients with Kidney Failure: A Pilot Study. Adv Geriatr Med Res. 2024;6(4):e240006.
- Tremblay R et al. Exercise as an adjuvant therapy in hemodialysis patients: benefits and risks. Adv Geriatr Med Res.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