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형 간염 전염성, 합병증, 보균자? | 검단, 풍무동, 불로동 B형 간염

“B형 간염이면 전염되나요?”

“보균자는 건강한 건가요?”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던데 정말인가요?”

B형 간염은 이름은 익숙하지만 실제로는 많은 오해와 혼란이 있는 질환입니다. 특히 가족 중 B형 간염 감염자가 있거나, 건강검진에서 ‘보균자’라는 말을 처음 듣게 된 경우라면 더욱 당황스러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B형 간염은 정확히 이해하고 적절히 관리한다면 충분히 안정적으로 지낼 수 있는 질환입니다.

아솔내과에서는 최신 의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B형 간염 전염성과 보균자의 의미, 그리고 주요 합병증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B형 간염 전염성 썸네일

1. B형 간염 전염성?

what is hepatitis b thumbnail 11zon

B형 간염은 혈액, 정액, 질 분비물 등 체액을 통해 전염되는 바이러스성 질환입니다. 흔한 전파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주산기 감염 (어머니로부터 신생아로)
  • 성 접촉
  • 오염된 주사기, 면도기, 침습적 시술 기구
  • 수혈 (현재는 매우 드문 경로)

한국에서는 대부분 주산기 감염, 즉 출산 시 어머니로부터 아기에게 전파되는 것이 주된 경로입니다. 반면, 성인에서는 주로 성접촉이나 의료 시술 과정에서 감염될 수 있습니다[2].

하지만 B형 간염은 음식이나 식기를 함께 사용하는 것으로 전염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다만 칫솔, 면도기, 손톱깎이처럼 혈액이 묻을 수 있는 개인 위생 용품은 공유를 피해야 하며, 침습적 시술(문신, 피어싱 등) 시 멸균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2. B형 간염 보균자란?

b형간염

무증상 B형 간염 보균자는 정확히 말하면 ‘만성 B형 간염 감염자 중 바이러스 활동성이 낮은 상태에 있는 사람’입니다.

이를 보통 면역비활동기(immune-inactive phase)라고 부릅니다.

  • HBeAg 음성, anti-HBe 양성
  • 혈청 HBV DNA 수치 < 2,000 IU/mL
  • 간 수치 (ALT) 정상
  • 간 조직 내 염증 거의 없음[1]

보균자는 외견상 건강하고 간기능검사도 정상이지만, 바이러스는 여전히 체내에 존재합니다. 현재 아무 문제를 일으키지 않기에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면역억제 상태나 나이가 들면서 다시 바이러스 활성기가 시작될 수 있어 정기적 추적관찰이 필수적입니다.

3. B형 간염 합병증

cancers 16 00777 g001 11zon

(1) 만성 간염과 간경변

B형 간염 감염 후 6개월 이상 HBsAg이 지속되면 만성 간염으로 정의합니다.

이 중 일부는 지속적인 염증과 간세포 손상으로 인해 간섬유화가 진행되고, 결국 간경변증(cirrhosis)으로 이어집니다.

대한간학회의 국내 다기관 연구에 따르면, HBeAg 음성 만성 간염 환자의 약 5년 누적 간경변 발생률은 23%에 이릅니다[1].

(2) 간세포암(간암)

B형 간염은 간암의 주요 원인입니다.

만성 감염자의 연간 간암 발생률은 0.5~2%로 보고되며, 특히 간경변이 동반된 경우에는 위험도가 더욱 증가합니다.

HBV DNA 수치가 높고 ALT가 반복적으로 상승하는 활동기 환자일수록 간암의 위험이 높습니다[1].

4. 전염을 막기 위한 예방 방법

(1) 예방접종

B형 간염 백신은 가장 효과적인 예방 방법입니다.

3회 접종 후 항체가 형성되며, 대부분에서 면역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출생 직후 예방접종과 면역글로불린 투여는 주산기 감염을 거의 완전히 예방할 수 있습니다.

B형 간염에 노출되는 환경에 계신 경우에는 항체 검사 후 예방접종을 통해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2) 개인 위생 및 감염 예방 수칙

B형 간염은 체액을 통해 감염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감염 예방 수칙을 지켜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 칫솔, 면도기, 손톱깎이 공유 금지
  • 침습적 시술(문신, 피어싱 등) 시 멸균기구 사용
  • 성접촉 시 콘돔 사용
  • B형 간염 환자와의 혈액 접촉 주의

5. 검단 B형 간염, 아솔내과

인천검단 내과 아인내과 진료실

B형 간염은 여전히 우리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간질환입니다.

‘보균자’라고 하여 안심해서는 안 되며, 정기적인 검사와 바이러스 상태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궁금한 점이나 정기검진이 필요하신 경우 언제든 아솔내과로 내원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참고문헌

  1. 대한간학회. 2022년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Seoul: 대한간학회; 2022.
  2. Tripathi N, Mousa OY. Hepatitis B. NCBI StatPearls.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2023 Jul 9.


당신이 좋아할 만한 콘텐츠

by Google Adsense



당신이 좋아할 만한 콘텐츠

by Google Adsense


더 읽어볼 만한 글들